schema.org 사용법, 비개발자도 쉽게 스키마 마크업할 수 있는 방법 안내

Team winnings
Team winnings

Team winnings

Insights

5

min read

2025. 7. 15.

위닝즈 팀이 심도깊게 분석한
B2B 마케팅 인사이트 매주 받기

Schema.org 사용법을 설명하는 글의 썸네일
Schema.org 사용법을 설명하는 글의 썸네일

Schema.org 뜻, 탄생 배경

Exploding Topics에 따르면 구글에서는 매일 약 164억 건의 검색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검색 수요가 많은만큼 콘텐츠도 매우 활발하게 생성될텐데요. 이런 검색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구글 검색 엔진은 매일 바쁘게 콘텐츠들을 읽고, 저장하고, 노출시키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은 수백만개, 수백억개의 콘텐츠를 읽기 때문에, 검색 엔진에게 조금 더 효율적으로, 조금 더 쉽게 인간이 쓴 콘텐츠를 이해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Google, Microsoft, Yahoo, Yandex가 공동으로 설립한 Schema.org가 나왔습니다. Schema.org를 통해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약속을 만들게 되었고 Schema.org 기준에 따라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는 검색 엔진이 더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chema.org 기준에 맞게 스키마 마크업을 할 경우, 검색 엔진에 노출될 확률 증가



스키마 마크업은 무엇인가? 우리가 스키마 마크업을 해야하는 이유

1. 스키마 마크업이란?

Schema.org 기준에 맞게 우리 홈페이지의 HTML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다른 회사들은 스키마 마크업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궁금하시다면, 기업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마우스 우클릭 - [검사] 버튼을 눌러보세요. 그 후 Ctrl+F를 눌러 ‘Schema’라고 검색해보면 그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가 나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2. 스키마 마크업의 중요성, 왜 해야할까?

  • 검색 엔진이 더 잘 이해하게 만들 수 있고, 웹사이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검색엔진은 정보를 수집할 때 HTML 태그 내 콘텐츠를 텍스트로만 인식하여 이 콘텐츠가 어떤 데이터를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스키마를 사용하여 마크업을 작성하면, 검색 엔진 입장은 콘텐츠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직’ 스키마 유형을 활용하면 검색 엔진이 ‘아 여기는 회사 홈페이지구나, 회사 홈페이지니까 더 신뢰할 수 있겠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리치 / 추천 스니펫으로 클릭률을 높일 수 있다.
    EngineScout에 따르면 검색 결과에 리치 / 추천 스니펫 형태가 노출되면, 일반 검색 결과보다 42%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면 리치 스니펫이나 추천 스니펫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높아져요.

    리치 스니펫 예시 - 리뷰 노출

    리치 스니펫 예시


    추천 스니펫 예시, Ranktracker - Catalina Grigoriev

    추천 스니펫 예시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1. Schema.org, 구조화된 데이터

    Schema.org라는 사이트에는 구조화된 데이터 템플릿이 모여있습니다. 우리 홈페이지 및 콘텐츠 유형에 맞게 구조화된 데이터를 선택하면 되는데요. 아래은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 일부입니다.

  • Organization

  • Person

  • Place, LocalBusiness

  • Product

  • Review


  1. JSON-LD, RDFa, Microdata

  • 구조화된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구현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 구글이 추천하는 언어는 JSON-LD입니다.


  1. 스키마 마크업

    schema.org에서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을 선택하면, 아래에 예시가 나옵니다. 이 예시를 활용하여 홈페이지 HTML 스크립트에 추가하면 됩니다. 이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Json-LD 언어로 구현된 구조화된 데이터 태그 예시


  1. 리치 / 추천 스니펫

    스키마 마크업을 해두면, 구글이 우리 홈페이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리치/추천 스니펫이 검색 결과에 함께 노출될 수 있습니다. 아래 별점이 표시되는 것이 리치 스니펫의 예시입니다. 다른 검색결과에는 리치 스니펫이 없는데, 우리 홈페이지의 검색 결과에만 리치 스니펫이 표시될 경우 주목도가 올라가서 클릭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구글 리치 스니펫 예시




schema.org 사용법

  1. 타사 웹사이트 분석

    우선 우리 회사와 유사한 홈페이지나 경쟁사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1. 그 회사의 스키마 마크업을 참고합니다.

  • 어떤 스키마 유형을 넣었는지, 각 유형에는 어떤 내용을 넣었는지 참고합니다.

  • ‘이 회사는 스키마 유형 중에 Person, Organization 유형을 썼네? 우리도 이런 유형은 꼭 넣어야겠다’ 등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타사 웹사이트의 html tag 분석


  1. 스키마 마크업 유형 중에서 우리 회사와 적합한 것, 경쟁사가 쓰고 있는 유형을 고릅니다.

  • 경쟁사가 Organization 유형을 쓰고 있다면, 해당 유형을 선택합니다.

schema.org에 있는 스키마 유형들


  1. 아래로 내리면 Example이 나옵니다.

  • 여러 예시가 있는데 그 중 우리 회사 정보를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예시를 선택하고 복사합니다.

  • 언어는 JSON-LD를 선택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스키마 태그 예시


  1. 우리 회사 정보에 맞게 HTML tag를 수정합니다.

  • 위닝즈는 아래와 같이 스키마 마크업을 수정했습니다.

  • Schema.org에 있는 예시 뿐만 아니라, 잡코리아 및 애플 등 SEO를 잘하는 회사의 스키마 태그도 참고하여 재구성했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1. 스키마 마크업 가이드




스키마 마크업이 잘 작성된건지 테스트하는 방법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Schema Markup Validator

  1.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2. 그럼 감지된 스키마 마크업 리스트가 나옵니다.

  3.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 및 경고 항목에 표시됩니다.

schema markup validator 사용 화면



스키마 마크업으로 검색 엔진 이해도를 높이고 유입을 늘리세요.

처음에는 생소해서 어렵지만, 위 가이드대로 따라해보시면 하루 안에 우리 회사만을 위한 스키마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감이 잘 안온다면 국내외 경쟁사 홈페이지나 SEO를 잘하는 삼성, 애플 같은 회사의 홈페이지를 꼼꼼하게 분석해보세요.

혹시 프로덕트 기획 및 개발, 광고 집행 등 다른 일로 너무 바빠서 우리 회사의 SEO 전략을 신경 쓸 틈이 없다면, 아래에 문의를 남겨주세요. 꼼꼼한 기업 분석에 기반하여 B2B 마케팅 전략 및 SEO 전략을 날카롭게 세우고 실행해드립니다.

All article

All article

All article

schema.org 사용법, 비개발자도 쉽게 스키마 마크업할 수 있는 방법 안내

Team winnings

Team winnings

Insights

5

min read

2025. 7. 15.

위닝즈 팀이 매주 4시간 넘게 분석한
B2B 마케팅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Schema.org 사용법을 설명하는 글의 썸네일
Schema.org 사용법을 설명하는 글의 썸네일

Schema.org 뜻, 탄생 배경

Exploding Topics에 따르면 구글에서는 매일 약 164억 건의 검색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검색 수요가 많은만큼 콘텐츠도 매우 활발하게 생성될텐데요. 이런 검색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구글 검색 엔진은 매일 바쁘게 콘텐츠들을 읽고, 저장하고, 노출시키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은 수백만개, 수백억개의 콘텐츠를 읽기 때문에, 검색 엔진에게 조금 더 효율적으로, 조금 더 쉽게 인간이 쓴 콘텐츠를 이해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Google, Microsoft, Yahoo, Yandex가 공동으로 설립한 Schema.org가 나왔습니다. Schema.org를 통해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약속을 만들게 되었고 Schema.org 기준에 따라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는 검색 엔진이 더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chema.org 기준에 맞게 스키마 마크업을 할 경우, 검색 엔진에 노출될 확률 증가



스키마 마크업은 무엇인가? 우리가 스키마 마크업을 해야하는 이유

1. 스키마 마크업이란?

Schema.org 기준에 맞게 우리 홈페이지의 HTML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다른 회사들은 스키마 마크업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궁금하시다면, 기업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마우스 우클릭 - [검사] 버튼을 눌러보세요. 그 후 Ctrl+F를 눌러 ‘Schema’라고 검색해보면 그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가 나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2. 스키마 마크업의 중요성, 왜 해야할까?

  • 검색 엔진이 더 잘 이해하게 만들 수 있고, 웹사이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검색엔진은 정보를 수집할 때 HTML 태그 내 콘텐츠를 텍스트로만 인식하여 이 콘텐츠가 어떤 데이터를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스키마를 사용하여 마크업을 작성하면, 검색 엔진 입장은 콘텐츠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직’ 스키마 유형을 활용하면 검색 엔진이 ‘아 여기는 회사 홈페이지구나, 회사 홈페이지니까 더 신뢰할 수 있겠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리치 / 추천 스니펫으로 클릭률을 높일 수 있다.
    EngineScout에 따르면 검색 결과에 리치 / 추천 스니펫 형태가 노출되면, 일반 검색 결과보다 42%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면 리치 스니펫이나 추천 스니펫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높아져요.

    리치 스니펫 예시 - 리뷰 노출

    리치 스니펫 예시


    추천 스니펫 예시, Ranktracker - Catalina Grigoriev

    추천 스니펫 예시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1. Schema.org, 구조화된 데이터

    Schema.org라는 사이트에는 구조화된 데이터 템플릿이 모여있습니다. 우리 홈페이지 및 콘텐츠 유형에 맞게 구조화된 데이터를 선택하면 되는데요. 아래은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 일부입니다.

  • Organization

  • Person

  • Place, LocalBusiness

  • Product

  • Review


  1. JSON-LD, RDFa, Microdata

  • 구조화된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구현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 구글이 추천하는 언어는 JSON-LD입니다.


  1. 스키마 마크업

    schema.org에서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을 선택하면, 아래에 예시가 나옵니다. 이 예시를 활용하여 홈페이지 HTML 스크립트에 추가하면 됩니다. 이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Json-LD 언어로 구현된 구조화된 데이터 태그 예시


  1. 리치 / 추천 스니펫

    스키마 마크업을 해두면, 구글이 우리 홈페이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리치/추천 스니펫이 검색 결과에 함께 노출될 수 있습니다. 아래 별점이 표시되는 것이 리치 스니펫의 예시입니다. 다른 검색결과에는 리치 스니펫이 없는데, 우리 홈페이지의 검색 결과에만 리치 스니펫이 표시될 경우 주목도가 올라가서 클릭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구글 리치 스니펫 예시




schema.org 사용법

  1. 타사 웹사이트 분석

    우선 우리 회사와 유사한 홈페이지나 경쟁사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1. 그 회사의 스키마 마크업을 참고합니다.

  • 어떤 스키마 유형을 넣었는지, 각 유형에는 어떤 내용을 넣었는지 참고합니다.

  • ‘이 회사는 스키마 유형 중에 Person, Organization 유형을 썼네? 우리도 이런 유형은 꼭 넣어야겠다’ 등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타사 웹사이트의 html tag 분석


  1. 스키마 마크업 유형 중에서 우리 회사와 적합한 것, 경쟁사가 쓰고 있는 유형을 고릅니다.

  • 경쟁사가 Organization 유형을 쓰고 있다면, 해당 유형을 선택합니다.

schema.org에 있는 스키마 유형들


  1. 아래로 내리면 Example이 나옵니다.

  • 여러 예시가 있는데 그 중 우리 회사 정보를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예시를 선택하고 복사합니다.

  • 언어는 JSON-LD를 선택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스키마 태그 예시


  1. 우리 회사 정보에 맞게 HTML tag를 수정합니다.

  • 위닝즈는 아래와 같이 스키마 마크업을 수정했습니다.

  • Schema.org에 있는 예시 뿐만 아니라, 잡코리아 및 애플 등 SEO를 잘하는 회사의 스키마 태그도 참고하여 재구성했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1. 스키마 마크업 가이드




스키마 마크업이 잘 작성된건지 테스트하는 방법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Schema Markup Validator

  1.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2. 그럼 감지된 스키마 마크업 리스트가 나옵니다.

  3.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 및 경고 항목에 표시됩니다.

schema markup validator 사용 화면



스키마 마크업으로 검색 엔진 이해도를 높이고 유입을 늘리세요.

처음에는 생소해서 어렵지만, 위 가이드대로 따라해보시면 하루 안에 우리 회사만을 위한 스키마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감이 잘 안온다면 국내외 경쟁사 홈페이지나 SEO를 잘하는 삼성, 애플 같은 회사의 홈페이지를 꼼꼼하게 분석해보세요.

혹시 프로덕트 기획 및 개발, 광고 집행 등 다른 일로 너무 바빠서 우리 회사의 SEO 전략을 신경 쓸 틈이 없다면, 아래에 문의를 남겨주세요. 꼼꼼한 기업 분석에 기반하여 B2B 마케팅 전략 및 SEO 전략을 날카롭게 세우고 실행해드립니다.

Schema.org 뜻, 탄생 배경

Exploding Topics에 따르면 구글에서는 매일 약 164억 건의 검색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검색 수요가 많은만큼 콘텐츠도 매우 활발하게 생성될텐데요. 이런 검색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구글 검색 엔진은 매일 바쁘게 콘텐츠들을 읽고, 저장하고, 노출시키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 엔진은 수백만개, 수백억개의 콘텐츠를 읽기 때문에, 검색 엔진에게 조금 더 효율적으로, 조금 더 쉽게 인간이 쓴 콘텐츠를 이해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Google, Microsoft, Yahoo, Yandex가 공동으로 설립한 Schema.org가 나왔습니다. Schema.org를 통해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약속을 만들게 되었고 Schema.org 기준에 따라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는 검색 엔진이 더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chema.org 기준에 맞게 스키마 마크업을 할 경우, 검색 엔진에 노출될 확률 증가



스키마 마크업은 무엇인가? 우리가 스키마 마크업을 해야하는 이유

1. 스키마 마크업이란?

Schema.org 기준에 맞게 우리 홈페이지의 HTML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다른 회사들은 스키마 마크업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궁금하시다면, 기업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마우스 우클릭 - [검사] 버튼을 눌러보세요. 그 후 Ctrl+F를 눌러 ‘Schema’라고 검색해보면 그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스키마 마크업 데이터가 나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2. 스키마 마크업의 중요성, 왜 해야할까?

  • 검색 엔진이 더 잘 이해하게 만들 수 있고, 웹사이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검색엔진은 정보를 수집할 때 HTML 태그 내 콘텐츠를 텍스트로만 인식하여 이 콘텐츠가 어떤 데이터를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스키마를 사용하여 마크업을 작성하면, 검색 엔진 입장은 콘텐츠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직’ 스키마 유형을 활용하면 검색 엔진이 ‘아 여기는 회사 홈페이지구나, 회사 홈페이지니까 더 신뢰할 수 있겠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리치 / 추천 스니펫으로 클릭률을 높일 수 있다.
    EngineScout에 따르면 검색 결과에 리치 / 추천 스니펫 형태가 노출되면, 일반 검색 결과보다 42%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면 리치 스니펫이나 추천 스니펫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높아져요.

    리치 스니펫 예시 - 리뷰 노출

    리치 스니펫 예시


    추천 스니펫 예시, Ranktracker - Catalina Grigoriev

    추천 스니펫 예시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스키마 마크업 관련 용어 정리


  1. Schema.org, 구조화된 데이터

    Schema.org라는 사이트에는 구조화된 데이터 템플릿이 모여있습니다. 우리 홈페이지 및 콘텐츠 유형에 맞게 구조화된 데이터를 선택하면 되는데요. 아래은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 일부입니다.

  • Organization

  • Person

  • Place, LocalBusiness

  • Product

  • Review


  1. JSON-LD, RDFa, Microdata

  • 구조화된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구현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 구글이 추천하는 언어는 JSON-LD입니다.


  1. 스키마 마크업

    schema.org에서 구조화된 데이터 유형을 선택하면, 아래에 예시가 나옵니다. 이 예시를 활용하여 홈페이지 HTML 스크립트에 추가하면 됩니다. 이것을 스키마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Json-LD 언어로 구현된 구조화된 데이터 태그 예시


  1. 리치 / 추천 스니펫

    스키마 마크업을 해두면, 구글이 우리 홈페이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리치/추천 스니펫이 검색 결과에 함께 노출될 수 있습니다. 아래 별점이 표시되는 것이 리치 스니펫의 예시입니다. 다른 검색결과에는 리치 스니펫이 없는데, 우리 홈페이지의 검색 결과에만 리치 스니펫이 표시될 경우 주목도가 올라가서 클릭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구글 리치 스니펫 예시




schema.org 사용법

  1. 타사 웹사이트 분석

    우선 우리 회사와 유사한 홈페이지나 경쟁사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1. 그 회사의 스키마 마크업을 참고합니다.

  • 어떤 스키마 유형을 넣었는지, 각 유형에는 어떤 내용을 넣었는지 참고합니다.

  • ‘이 회사는 스키마 유형 중에 Person, Organization 유형을 썼네? 우리도 이런 유형은 꼭 넣어야겠다’ 등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타사 웹사이트의 html tag 분석


  1. 스키마 마크업 유형 중에서 우리 회사와 적합한 것, 경쟁사가 쓰고 있는 유형을 고릅니다.

  • 경쟁사가 Organization 유형을 쓰고 있다면, 해당 유형을 선택합니다.

schema.org에 있는 스키마 유형들


  1. 아래로 내리면 Example이 나옵니다.

  • 여러 예시가 있는데 그 중 우리 회사 정보를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예시를 선택하고 복사합니다.

  • 언어는 JSON-LD를 선택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스키마 태그 예시


  1. 우리 회사 정보에 맞게 HTML tag를 수정합니다.

  • 위닝즈는 아래와 같이 스키마 마크업을 수정했습니다.

  • Schema.org에 있는 예시 뿐만 아니라, 잡코리아 및 애플 등 SEO를 잘하는 회사의 스키마 태그도 참고하여 재구성했습니다.

위닝즈 스키마 마크업 예시


  1. 스키마 마크업 가이드




스키마 마크업이 잘 작성된건지 테스트하는 방법

Schema.org에서 제공하는 Schema Markup Validator

  1.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2. 그럼 감지된 스키마 마크업 리스트가 나옵니다.

  3.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 및 경고 항목에 표시됩니다.

schema markup validator 사용 화면



스키마 마크업으로 검색 엔진 이해도를 높이고 유입을 늘리세요.

처음에는 생소해서 어렵지만, 위 가이드대로 따라해보시면 하루 안에 우리 회사만을 위한 스키마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감이 잘 안온다면 국내외 경쟁사 홈페이지나 SEO를 잘하는 삼성, 애플 같은 회사의 홈페이지를 꼼꼼하게 분석해보세요.

혹시 프로덕트 기획 및 개발, 광고 집행 등 다른 일로 너무 바빠서 우리 회사의 SEO 전략을 신경 쓸 틈이 없다면, 아래에 문의를 남겨주세요. 꼼꼼한 기업 분석에 기반하여 B2B 마케팅 전략 및 SEO 전략을 날카롭게 세우고 실행해드립니다.

위닝즈 마케팅 대행 문의

문의를 남겨주시면 담당자가 2일 이내로 전화드립니다.

1:1 전화 상담을 통해 궁금한 점들을 가볍게 물어보세요!

문의를 남겨주시면 담당자가 2일 이내로 전화드립니다.

1:1 전화 상담으로 궁금한 점들을 가볍게 물어보세요!

다른 사람들이 많이 읽은 아티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읽은 아티클

B2B 마케터, 대표님들이 많이 읽어 본 아티클입니다. 지금 확인해보세요.

B2B 마케터, 대표님들이 많이 읽어 본 아티클입니다.

성공을 만드는 콘텐츠, 위닝즈가 씁니다.

위닝즈와 함께 고객의 신뢰를 얻고, 그로스를 만들어보세요.

support@thewinnings.kr

10F, 18 Bucheon-ro 198beon-gil, Bucheon-si

374-42-01157 ㅣ 2025-부천원미-0359호

성공을 만드는 콘텐츠, 위닝즈가 씁니다.

위닝즈와 함께 고객의 신뢰를 얻고

그로스를 만들어보세요.

support@thewinnings.kr

10F, 18 Bucheon-ro 198beon-gil, Bucheon-si

374-42-01157 ㅣ 2025-부천원미-0359호

성공을 만드는 콘텐츠, 위닝즈가 씁니다.

위닝즈와 함께 고객의 신뢰를 얻고

그로스를 만들어보세요.

support@thewinnings.kr

10F, 18 Bucheon-ro 198beon-gil, Bucheon-si

374-42-01157 ㅣ 2025-부천원미-0359호

ChannelIO('boot', { "pluginKey": "863b09f7-179c-4288-aac2-09dcf4ab1b7f" // fill your plugin key });